S&P500의 개념/역사, S&P500에있는 종목, S&P500 추종 한국 ETF, 미국 ETF 종류
S&P500의 개념/역사, S&P500에있는 종목, S&P500 추종 한국 ETF, 미국 ETF 종류
1. S&P 500의 개념과 역사
개념
S&P 500은 미국의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(Standard & Poor's)에서 선정한 미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500개 대형 기업의 주가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주가지수입니다.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계산되어, 기업의 시가총액이 클수록 지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. 이를 통해 미국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지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.
역사
- 1923년: 스탠더드 통계회사(Standard Statistics Company)에서 233개 주식을 포함한 주가지수를 주간 단위로 발표.
- 1926년: 90개 주식을 포함한 일간 지수 도입.
- 1941년: 스탠더드 통계회사와 푸어스 출판사(Poor's Publishing)가 합병하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(Standard & Poor's) 설립.
- 1957년 3월 4일: 현재의 형태인 500개 기업으로 구성된 S&P 500 지수 공식 발표.
이후 S&P 500 지수는 미국 경제의 척도로 널리 활용되며, 다양한 금융 상품의 기초 지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.
2. S&P 500에 포함된 종목
S&P 500 지수는 미국 주식시장의 다양한 산업을 대표하는 500개 대형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2024년 6월 28일 기준, 상위 9개 기업이 전체 지수의 35.8%를 차지하고 있으며, 이들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마이크로소프트(Microsoft)
- 엔비디아(NVIDIA)
- 애플(Apple)
- 아마존(Amazon)
- 메타 플랫폼스(Meta Platforms)
- 알파벳 클래스 A 및 C 주식(Alphabet Inc.)
- 버크셔 해서웨이(Berkshire Hathaway)
-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(Eli Lilly and Company)
- 브로드컴(Broadcom)
이러한 구성은 시장 상황에 따라 정기적으로 조정되어, 미국 경제의 다양한 부문을 효과적으로 반영합니다.
3. S&P 500 추종 한국 ETF
한국 투자자들은 국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ETF를 통해 S&P 500 지수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. 대표적인 ETF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KODEX 미국S&P500TR ETF (379800)
-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ETF로, S&P 500 지수를 추종합니다.
- 총보수는 연 0.0798%이며, 2023년 기준 증권거래비용은 0.0421%입니다.
- TIGER 미국S&P500 ETF
-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운용하며, S&P 500 지수를 추종합니다.
- 총보수는 연 0.09%로, 저렴한 비용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.
- RISESTAR 미국S&P500 ETF
- KB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ETF로, S&P 500 지수를 추종합니다.
- 총보수는 연 0.09%입니다.
이 외에도 다양한 운용사에서 S&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제공하고 있으므로, 투자자는 각 상품의 보수, 환헤지 여부 등을 비교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.
4. S&P 500 추종 미국 ETF 종류
미국 시장에서도 S&P 500 지수를 추종하는 여러 ETF가 있습니다. 주요 ETF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SPDR S&P 500 ETF Trust (SPY)
- 1993년에 상장된 최초의 S&P 500 추종 ETF로, State Street Global Advisors에서 운용합니다.
- 총보수는 연 0.09%입니다.
- Vanguard S&P 500 ETF (VOO)
- Vanguard에서 운용하는 ETF로, 낮은 비용이 특징입니다.
- 총보수는 연 0.03%로, SPY보다 저렴합니다.
- iShares Core S&P 500 ETF (IVV)
- BlackRock에서 운용하는 ETF로, S&P 500 지수를 추종합니다.
- 총보수는 연 0.03%입니다.
이들 ETF는 모두 S&P 500 지수를 추종하지만, 운용사와 총보수, 유동성 등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투자 목적과 전략에 따라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5. S&P 500의 10년간 수익률
S&P 500 지수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여왔습니다. 1957년 3월 출시 이후, 1941년~1943년 구성종목 시가총액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시작되어 현재까지 약 23,230%의 누적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 이를 연평균 수익률로 환산하면 약 8%에 달합니다.
6. 투자 유의점
S&P 500 지수에 투자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- 시장 변동성: S&P 500 지수는 미국 경제를 대표하지만, 글로벌 경제 상황, 정치적 이슈, 금리 변동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동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.
- 환율 위험: 한국 투자자가 미국 상장 ETF에 투자할 경우, 원-달러 환율 변동에 따른 환차익 또는 환차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환율 변동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.
- 세제 혜택 및 과세: 국내 상장 ETF는 연금저축, 퇴직연금 계좌 등을 통해 투자할 경우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반면, 해외 상장 ETF는 양도소득세 등의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, 투자 전에 세금 관련 사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- 비용 구조: ETF 투자 시 운용 보수, 거래 수수료 등 비용을 고려해야 합니다. 낮은 비용의 ETF를 선택하면 장기적으로 수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- 분산 투자: S&P 500 지수는 대형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, 중소형주나 다른 자산군에 대한 분산 투자를 통해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.